[중앙뉴스]인추협, 안상기옹, 3.1절날 태극기 두르고 호국헌에 안장되다
인추협, 안상기옹, 3.1절날 태극기 두르고 호국헌에 안장되다 | |||||||||
사라진 고향땅 뒤로 하고 소소히 우리곁 떠나 | |||||||||
마지막 가는 길은 외롭지 않았다.. 요양병원에서 홀로 쓸쓸히 세상을 떠났지만 6.25참전용사 고 안상기옹은 세종시6.25참전유공자회, 사랑의일기연수원, 파란나라봉사단의 지원속에 3.1절날 태극기에 둘러쌓인채 호국헌에 안장되었다. 6.25영웅으로서의 예우에 걸맞게 장엄했다.
젊어서는 나라를 지키기 위해 총을 들었고 나이들어서는 가족을 봉양키 위해 논.밭을 일구어왔지만 평생 지켜온 석삼2리가 어느날 세종시가 개발되면서 고스란히 편입되고 7억원이란 보상금이 나왔다.
그러나 이제 모든 것을 떠안고 어르신은 홀홀 하늘나라로 가셨다.
고진광 세종시 향우회연합회장은 “외부에서는 보상비 받은 연기군 주민들이 복받았다고 부러워하기도 했지만 과연 고향땅 쫓겨난 주민들이 그 돈으로 무얼 하겠으며 얼마나 행복하게 살고 있는지는 의문이다”며 “이상기옹가족이 그분들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하다”는 소회를 토로했다. 경제와 개발논리로 모든 것이 묻혀버리면서 갈수록 각박해지고 삭막해지는 사회속에서 이제는 돈을 떠나 그 안에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민초들의 가슴에 더 이상 상처를 주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다.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인추협, 대표 고진광)과 사랑의일기연수원은 우리사회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수많은 빈곤층과 6.25참전용사 돌봄사업을 보다 적극적으로 전개할 예정이다. 참고로 6.25참전용사는 전국에 17만명이 생존해계시는데 대부분 80대고령에 병들고 홀모노인들이다 한해 2만명씩 유명을 달리하고 있는 이유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