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오늘 6·25 62주년]“카투사 출신 국군포로 올초 탈북 실패… 한-미 정부와 유엔이 송환 노력해달라”
- 닉네임
- 관리자
- 등록일
- 2012-06-25 12:38:47
- 내용
-
[기사 발췌]
[오늘 6·25 62주년]“카투사 출신 국군포로 올초 탈북 실패… 한-미 정부와 유엔이 송환 노력해달라”
인간성회복운동추진協 촉구
6·25전쟁 당시 카투사로 복무하다 납북된 국군포로 A 씨가 북한에 생존해 있다는 사실이 확인돼 사단법인 인간성회복운동추진협의회(인추협)가 송환을 촉구하고 나섰다. A 씨는 최근 국립대전현충원에 유해가 안장된 이갑수, 김용수 일병과 함께 미 7사단에 복무했다.
인추협 고진광 대표는 24일 “한미 양국 정부와 유엔이 A 씨를 비롯한 국군포로 생존자 송환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인추협은 지난해 6월부터 국군포로 귀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해 현재는 주한 미국대사관 앞에서 국군포로 생환을 위한 미 정부의 노력을 촉구하는 1인 시위도 계획하고 있다.
국내 민간단체와 활동가들의 도움을 받아 최근까지 탈북을 시도했던 A 씨는 올해 초 북한 접경지역의 경비가 삼엄해지면서 끝내 탈출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선영 전 자유선진당 의원은 “카투사로 복무했던 A 씨의 생존 사실이 확인돼 지난해 ‘국군포로 송환 결의안’이 미 의회에서 통과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며 “현재도 약 350명의 국군포로가 북한에 생존해 있는데 정부는 이들을 단 한 차례도 공식 송환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 1994년 고 조창호 중위의 생환을 계기로 현재까지 80여 명의 국군포로가 탈북에 성공했지만 이들은 모두 현지 브로커와 국내 민간단체 등을 통한 비공식 루트를 이용했다.
[화보] 6·25 그때 그모습
정부 대신 민간단체가 국군포로 송환에 적극 개입하면서 국군포로에 대한 4억∼5억 원 상당의 보상금을 노린 탈북 브로커들이 국내 가족들과 갈등을 빚는 등 부작용도 생겨나고 있다. 박 전 의원은 “국군포로 한 사람을 빼내는 데 많게는 1억 원 정도의 비용이 드는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또 “부양이 힘들다는 이유로 국내에 거주하는 가족이 생환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 만큼 우선은 국군포로를 위한 요양시설을 신속히 건립하고 경제난과 가족 불화에 시달리는 국군포로들이 편안한 여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현국 기자 mck@donga.com